장례 3일차
장례정보장례절차장례 3일차
01 발인
  • 영구가 집(장례식장)을 떠나는 절차이다.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 쪽이(종교적 차이가 있음) 먼저 나가야 한다.
    ※ 천주교는 하반신부터 나감

    종교의식
    • 일반적 : 발인제(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올리는 의식)
    • 기독교 : 발인 예배
    • 천주교 : 출관 예절 → 발인 미사
02 영결식

故人의 신분에 따라 가족장, 단체장, 사회장, 종교행사 등으로 하는데 단체장이나 사회장의 경우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주재한다.(종교행사일 경우 그 형식에 따른다.)

03 운구

발인제가 끝난 후 영구를 장지까지 영구차나 상여로 운반하는 절차.
영구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영정, 棺(명정), 상주 및 유족, 문상객의 순으로 승차하고, 상여의 경우에는 영정, 명정, 영구(상여)가 앞서고 상주가 따르며 문상객이 따른다.

04 하관

하관이란 장지에서 영구를 광중(壙中)에 넣는 것을 말한다. 하관 때에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哭은 하지 않는다. 관을 수평과 좌향(坐向)을 맞추어 반듯하게 내려놓고 명정을 관위에 덮는다. 횡대를 가로 걸친 후 상주는 흙(取土)을 棺 위에 세 번 뿌린다.(횡대 사용은 지역별 및 家風에 따라 다를 수 있음.)

05 성분 · 봉분
  • 성복(成服)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服人.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한다.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
  •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으로
    • 평토(平土) : 취토(取土)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 관을 덮는 행위.
    • 봉분(封墳) :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잔디를 입힌다.
    • 지석(誌石) : 봉분이 끝나면 지문(誌文)을 적은 지석(誌石)을 묘의 오른쪽 아래에 묻는 행위. 봉분이 유실되더라도 누구의 묘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위령제 및 성분제
      성분이 끝나면 묘소 앞에 영좌를 모시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빌고 영혼을 위로하는 제사를 올린다. 화장을 했을 경우에는 영좌를 유골함으로 대신하여 제를 올린다.
    • 축문 : 전통방식과 현대식이 있음.
      • 例 현대식 축문인 경우
        • 1. 년 월 일 (00)은 (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오늘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 2. 년 월 일 남편(00)은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06 반우제

葬地에서 위령제가 끝나면 상제들은 靈位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와 그날 영혼을 집에 맞아들이는 의식이며, 이를 반우제 또는 초우(初虞)라고도 한다. 반우제는 제물을 생략하고 배례나 묵도로 대신하여도 되고 이로써 삼일 장례는 끝나게 된다.